딩생댕생184 프랑스 보르도(BORDEAUX) 와인 공부 - 2 (보르도 블렌드 시음) 보르도 와인 두 번째 시간! 보르도 블랜드 시음 후기를 나눠볼까 해요. 제 시음 후기가 정보성 글은 아닌 것 같지만,, 저처럼 초보자 분들께는 초보자의 시선이 또 도움이 될 수도 있겠다 싶고, 또 저 나름의 성장과정 기록을 위해 계속해서 열심히 작성을 해보겠습니다~!! 제가 보르도 1편에서 보르도 레드 와인을 무려 5병이나 마셨다고 미리 예고를 했었는데요. 와인을 이렇게 각 잡고 공부하기로 다짐하기 전에도 가끔씩 편의점에서 칠레의 디아블로 카베르네 소비뇽을 몇 번 사보기도 했었고 그 외 신대륙의 카베르네 소비뇽도 가끔씩 마셨었거든요?? 조셉 펠프스의 이니스프리라던가..! 그때도 같은 포도 품종의 와인을 마셨다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맛의 편차가 굉장히 커서 이번 기회에 제대로 품종에 대해서 파악해보겠다.. 2022. 12. 13. 애드고시만 통과하면 끝인 줄 알았지… 뭐?! 일시적인 광고 게재 제한?!! 안녕하세요… 어째선지 점점 불운의 아이콘이 되어가고 있는 딩글댕글입니다. 올해 삼재라고 하더니 맞긴 한가봐요.. 뭘해도 한번에 술술 되는 일이 없습니다… 이번엔 또 뭐냐고요? 예~ㅎ 별건 아니고요~ 제가 광고를 또 못달게 됐다네요 글쎄… 뿌엥… 2022년 12월 8일, 오후 5:18 애드센스 계정 활성화 2022년 12월 10일, 오후 5:31 일시적인 광고제한….(메일이 온 시간이 저렇고 실제 제한일은 9일부터였답니다…) 즉 세달반만에 겨우 광고를 달고 하루만에 광고를 게재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는 거죠. 하하… 또 다시 구렁텅이에 빠진 제가 열심히 찾아본 원인과 해결책을 공유드리겠습니다… 물론 저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지만요…🥲 원인 사실 다 제가 무지한 탓이었겠죠… 저는 그냥 제 블로그에도 드디어 구글.. 2022. 12. 12. 프랑스 보르도(BORDEAUX) 와인 공부 - 1 (지역 / 품종 / 등급) 프랑스 와인 공부 두 번째 지역입니다. 오늘은 보르도 와인에 대해서 한번 공부해보겠습니다. 저번 글에서도 잠깐 말씀드렸지만 프랑스 와인의 양대 산맥을 보르도와 부르고뉴라고 흔히 얘기하거든요!? 보르도 와인의 주품종은 무엇인지, 어떤 지역과 마을들이 있는지, 등급체계는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보르도 지역과 품종 보르도 지역을 잘 살펴보기 위해서 오늘은 보르도 와인 지도를 준비했습니다. 우선 보르도는 지롱드 강(River Gironde)을 기준으로 나뉘게 되는데 강의 왼쪽을 좌안, 강의 오른쪽을 우안이라고 표현합니다. 강을 경계로 양쪽의 떼루아가 달라서 좌안과 우안의 '주품종'이 달라지게 됩니다. 여기서 주품종?이라고 하실 텐데 부르고뉴 레드는 피노누아 단일품종이었잖아요? 보르도는 여러 품종을 블렌딩 하는 .. 2022. 12. 12. 프랑스 부르고뉴(BOURGOGNE) 와인 공부 - 2 (부르고뉴 피노누아 시음) 1탄에서는 부르고뉴 와인에 대한 개괄적인 공부를 해봤으니 이번엔 직접 맛을 봐야겠죠?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무엇이든 경험을 해봐야 진짜로 알 수 있으니까요! 이제 겨우 와인 입문자라서 빌라쥬급 이상은 아직은 이른 것 같고요.(좋은 와인을 마셔도 좋은지 모를 시기..) 오늘은 부르고뉴의 레지오날급 와인으로 2병 준비해봤습니다. 유튜브에서 마스터 오브 와인 아저씨가 알려주신 건데 와인을 마실 때 2병 이상의 와인을 함께 마셔보라고 하셨어요. 저도 한 병만 마셔보기도 하고 서로 다른 와인 2병을 함께 마셔도 봤는데 확실히 후자가 각자의 특징을 더 잘 캐치할 수가 있더라고요! 와인 시음기 오늘 소개드릴 와인은 각자 다른 와이너리에서 만들어진 부르고뉴 피노누아 와인입니다. 1. 도멘 떼브노 르 브륀(Domaine.. 2022. 12. 11.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46 다음